美 금리인하 시한부 되나…"2026년에는 금리 올려야 할 수도" < 국제뉴스 < 기사본문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및 재정 정책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美금 물가 지표에 영향력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 시기를 2026년으로 지목하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하 기조가 되돌려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20일(현지시간)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선물시장 참가자들은 내년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미국 기준금리가 3.00~3.25%에 있을 확률을 1.9%로 책정했다. 두 달 전까지만 해도 이 시나리오는 25.8%로 점쳐져 이른바 시장참가자들의 '대세'였다.

지금은 이러한 전망이 1.9%로 쪼그라들었다. 그사이 이보다 100bp가 높은 4.00~4.25% 기준금리 예상은 26.0%로 높아졌다. 두 달 전에는 0% 확률이었다.

예상보다 더딘 미국의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둔화)과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출현이 내년 전망 금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나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인상과 재정 확대가 모두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것으로 우려된다.

하지만, 트럼프 정책의 파급력은 바로 포착되기 어렵다. 파월은 경제 상황에 맞춰 금리인하를 진행할 수 있다. 결국, 차기 의장이 모든 부담을 떠안고 정책 기조를 바꿀 수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제기됐다. 미국 금리인하 기조가 시한부일 수 있다는 뜻이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마크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정부 아래서 더 높은 인플레이션과 더딘 성장을 예상한다"며 "관세와 이민자 추방은 부정적인 공급 충격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2025년에는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는 데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지만, 2026년에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시작해야 하는 입장에 놓일 수 있다"며 "그때가 문제이면서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는 약 1년간 파월 의장과 함께 일을 해야 한다. 이 기간에 파월 의장을 얼마나 압박하는지에 따라 정부의 금리 장악력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저금리를 선호하는 트럼프 당선인은 연준 의장이 누구든, 인플레가 어떻든 인하를 우선으로 요구할 수 있다. 중장기 금리 불확실성을 키우는 변수다.

SMBC 닛코증권의 조셉 라보르그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정부와 연준의 갈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며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를 때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문제로 떠오를 것"이라고 언급했다.

더불어 "대통령이 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생각하면 연준이 대중의 시선을 의식해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3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11월 FOMC, '점진적' 폭넓은 지지…"역레포금리 조정 검토" 주장도